Open Access, Peer-reviewed
eISSN 2093-9752
Woen-Sik Chae
Jae-Hu Jung
http://dx.doi.org/10.5103/KJAB.2025.35.3.184 Epub 2025 September 07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utter head type and the presence of a ball aiming line on putting alignment accuracy.
Method: Eighteen, right-eye dominant adult males with no prior golf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applied in a randomized order: (1) blade putter + without ball aiming line (BWOA), (2) blade putter + with ball aiming line (BWA), (3) mallet putter + without ball aiming line (MWOA), and (4) mallet putter + with ball aiming line (MWA).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putting trials from a distance of 2 meters under each condition. A three-dimensional motion capture system was employed to analyze alignment variables during the putting stroke. A one-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8.0 to deter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nditions. When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Bonferroni post hoc tests were used for pairwise comparison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α = .05.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alignment angles between the target line and the putter fa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BWOA and BWA conditions compared to the MWOA condition. Additionally, the BWA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alignment angles than the BWOA condition, while the MWA condi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MWOA. In terms of stance alignment, BWOA, BWA, and MWA conditions all demonstrated significantly reduced alignment angles relative to the MWOA condition. Furthermore, during the address, the BWA condition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alignment of the knee and hip joints compared to the MWA condition. At impact, the BWA condition exhibited significantly more accurate alignment of the knee and hip joints than the BWOA condi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ing a blade putter in combination with a golf ball aiming line positively influences alignment of the putter face, stance, and lower limb joints during putting, potentially enhancing putting performance.
Keywords
Putting Putter head Aiming line Alignment
골프 경기에서 퍼팅은 매 홀마다 골프볼을 그린에 위치한 홀에 넣는 마지막 단계로써, 이러한 퍼팅의 성공 여부가 전체 스코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Kim, 2016). 골프 경기에서 중요한 변수가 되는 퍼팅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퍼팅 스트로크의 정확성 및 일관성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Park, 2002).
퍼팅 스트로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퍼터 페이스의 각도, 퍼터 헤드의 이동 경로, 퍼터 페이스와 볼의 접촉 위치, 지면의 저항, 경사도 등이 있다(Pelz, 2000). 이처럼 퍼팅은 다양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퍼팅을 위해서는 여러 요인들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퍼팅 수행 기술과 관련된 기본적인 원리는 목표 방향과 퍼터 페이스의 방향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퍼팅 스트로크 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퍼터 페이스를 목표 방향의 타깃 라인과 일치하도록 정렬해야 하며, 진자 운동에 가까운 스트로크를 통해 골프볼에 대한 정확한 임팩트가 이루어져야 한다(Har & Cho, 2015; Rha, 2011).
Karlsen, Smith와 Nilsson (2008)은 퍼팅 시 골프볼과 퍼터 헤드의 정렬은 골프볼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에, 퍼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 방향으로 골프볼과 퍼터 헤드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Har와 Cho (2015), Lee와 Lee (2019)의 연구에서는 퍼터 헤드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퍼팅 스트로크를 수행하였을 때 골프볼의 진행 방향은 퍼터 헤드가 틀어진 각도와 유사하거나 혹은 그 이상으로 벗어나게 되며, 퍼터 헤드의 정렬 각도 오차는 골프공의 진행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lez (2000)는 퍼팅 시 목표 방향에 대한 정렬의 정확성 및 일관성이 떨어질 경우, 목표와의 거리가 각각 1, 2, 3 m로 증가함에 따라 홀인 확률은 각각 70%, 20%, 10% 미만으로 현저히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앞서 언급한 선행연구와 같이 퍼팅 시 정렬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퍼팅 스트로크를 위한 어드레스 자세에서는 목표 방향인 홀을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 바라보기 때문에 착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골프볼과 퍼터 헤드의 정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Johnston, Benton과 Nishida (2003)는 골프 퍼팅에서 나타나는 착시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15명의 골퍼를 대상으로 2 m 거리의 퍼팅 시 타깃 라인에 정확하게 에이밍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오른손 골퍼들은 퍼팅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홀의 우측을 향해서 에이밍하게 되며, 이로 인해 퍼팅 스트로크 시 골프볼이 홀의 우측으로 벗어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Farnsworth (1997)와 Mangum (2008)은 퍼팅의 정확성 및 일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골프볼과 퍼터 헤드의 정렬 시 착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각적 능력이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 퍼팅 시 착시 현상 감소 및 정렬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에이밍 라인과 같은 시각적 보조 도구의 적용 및 개발 측면에서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Farnsworth, 1997; Kim, Jin, Koo, Jang & Mah, 2020; Shim, Miller & Lutz, 2012; Yoo, Shin & Park, 2014). Farnsworth (1997)의 연구에서는 퍼팅 어드레스에서의 목표 방향에 대한 착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골프볼 또는 퍼터 헤드에 표시된 에이밍 라인을 시각적 보조 도구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Farnsworth (2009)의 연구에서는 골프볼의 에이밍 라인을 길고 굵게 표시를 하는 것이 퍼팅 정렬에 효과적이며, 퍼팅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퍼팅에서의 정렬 개선 및 성공률 향상을 위해 시각적 보조 도구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퍼팅 시 목표 방향에 대한 정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각적 보조 도구 중, 퍼터 헤드의 형태와 골프볼에 적용된 에이밍 라인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퍼팅 시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정렬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1. 연구대상자
본 연구에서는 인체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고 골프 참여 경력이 전무하며, 우세 안이 우측인 성인 남성 18명(연령 21.9±1.4세, 신장 176.7±6.1 cm, 체중 75.7±10.3 kg)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실험장비
f1) 3차원 영상 분석
본 연구에서는 퍼팅 동작에 대한 3차원 영상 분석을 위해 6대의 적외선 카메라(100 Hz, Motion Master 100, Visol Inc., Korea)를 사용하였으며, 3차원 좌표 계산을 위한 기준점(control point)과 동조용 발광다이오드가 촬영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설치하였다. 퍼팅 정렬 분석을 위한 3차원 좌표화를 위해 직경 0.8 mm의 반사마커를 홀, 타깃 라인을 지나는 지점, 골프볼, 퍼터 헤드의 토우(toe)와 힐(heel), 좌우측 발가락, 좌우측 무릎, 좌우측 전상장골극, 좌우측 어깨에 부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퍼팅 어드레스 동작 시 피험자의 전후 방향을 X축, 타깃 방향을 Y축, 수직 방향을 Z축으로 설정하였다.
2) 퍼터
본 연구에서는 퍼팅 동작 수행을 위해 블레이드 형태의 스카티카메론 Newport 2 퍼터(Titleist, Acushnet Company, USA)와 말렛 형태의 스카티카메론 Phantom X 11 퍼터(Titleist, Acushnet Company, USA)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퍼터의 길이와 재질은 각각 86.36 cm, Stainless steel로 모두 동일하였다. 또한 모든 피험자의 그립 방법은 리버스 오버래핑 그립(reverse overlapping grip)으로 통일하였다.
3) 골프볼
본 연구에서는 타이틀리스트 PRO V1 골프볼(Titleist, Acushnet Company, USA)을 사용하였으며,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라 <Figure 1>과 같이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미적용(blade putter + golf ball without aiming line, BWOA),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blade putter + golf ball with aiming line, BWA), 말렛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미적용(mallet putter + golf ball without aiming line, MWOA), 말렛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mallet putter + golf ball with aiming line, MWA)의 4가지 조건을 설정하였다.
4) 퍼팅 매트
본 연구에서는 퍼팅 어드레스 동작 수행을 위해 지름 6 m의 원형 퍼팅 매트를 사용하였으며, 수평계를 이용하여 지면의 상태를 가능한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Pelz (2000)는 PGA 투어 프로 선수의 경우, 약 2 m의 퍼팅 거리에서 약 50%의 성공률을 보이지만, 3 m 이상 거리에서의 퍼트 성공률은 25%로 급격히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lz (2000)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퍼팅 성공률이 급격히 감소되는 2 m의 거리를 퍼팅을 위한 실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3. 실험절차
본 실험에서는 퍼팅 동작 시 퍼터 헤드 형태와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정렬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미적용(BWOA),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BWA), 말렛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미적용(MWOA), 말렛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MWA)의 4가지 조건을 무작위 순으로 적용하였다(Figure 1). 이후 피험자들은 홀과 2 m의 거리에서 각 조건별 3회의 퍼팅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3차원 영상 분석을 실시하였다(Figure 2).
4. 자료분석
1) 3차원 영상 분석
3차원 영상 분석은 Kwon3D 3.1 program (Visol Inc., Korea)을 사용할 것이며, 직접 선형 변환방법(direct linear trans- formation, Abdel-Aziz & Karara, 1971)을 통해 3차원 좌표값을 산출하였다. 영상 좌표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2차 Butterworth low-pass digital filter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차단 주파수는 6 Hz로 설정하였다. 3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어드레스와 임팩트 시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의 정렬 각도, 타깃 라인과 양발 스탠스의 정렬 각도,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의 정렬 각도, 타깃 라인과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 타깃 라인과 양쪽 어깨 관절의 정렬 각도를 산출하였다.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의 정렬 각도는 홀과 골프볼을 연결한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가 수직 정렬되었을 때를 0°로 설정한 후, 0°를 기준으로 퍼터 페이스가 수직 정렬에서 벗어난 각도의 절대 값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타깃 라인과 양발 스탠스,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 양쪽 어깨 관절의 정렬 각도는 타깃 라인과 신체 각 부위가 수평 정렬되었을 때를 0°로 설정한 후, 0°를 기준으로 신체 각 부위가 수평 정렬에서 벗어난 각도의 절대 값으로 정의하였다. 이 때, 양발 스탠스는 좌우측 발가락을 연결한 라인, 양쪽 무릎 관절은 좌우측 무릎 관절을 연결한 라인, 양쪽 엉덩 관절은 좌우측 전상장골극을 연결한 라인, 양쪽 어깨 관절은 좌우측 어깨 관절을 연결한 라인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5. 통계처리
본 연구에서는 퍼팅 시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정렬 차이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 SPSS 28.0을 이용하였다.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4가지 조건에 대한 분석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차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 측정을 통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차가 검증될 시 사후 검증을 위해 bonferroni를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검증의 유의성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1.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에 대한 정렬 각도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의 정렬 각도에서는 BWOA 조건과 B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01). 또한 BWA 조건이 B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22), M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양발 스탠스의 정렬 각도에서는 BWOA 조건과 B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01). 또한 M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BWA 조건이 MW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49, p=.003).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양쪽 어깨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조건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1).
|
|
BWOA |
BWA |
MWOA |
MWA |
F |
p |
Address |
Putter face |
5.1±2.1*# |
4.2±1.2*♮ |
7.7±2.2#♮∮ |
4.8.±1.1∮ |
34.012 |
.001 |
Stance |
5.2±1.9# |
4.6±1.2♮ |
8.6±2.1#♮∮ |
5.1±1.2∮ |
51.334 |
.001 |
|
Knee |
6.1±2.2 |
4.8±1.4♭ |
6.7±3.3 |
5.9±1.1♭ |
2.767 |
.051 |
|
Hip |
8.6±2.8 |
6.9±1.2♭ |
9.6±4.4 |
7.8±1.3♭ |
3.054 |
.037 |
|
Shoulder |
12.8±4.5 |
10.3±2.0 |
11.3±3.7 |
10.7±1.9 |
2.599 |
.062 |
|
Impact |
Putter face |
7.1±2.7 |
6.3±2.2 |
7.4±3.2 |
6.9±2.8 |
.726 |
.541 |
Stance |
5.9±2.8 |
5.3±2.6 |
7.7±4.1 |
6.1±3.5 |
1.962 |
.131 |
|
Knee |
7.2±2.9* |
5.0±1.2* |
7.5±4.8 |
6.5±2.1 |
2.493 |
.070 |
|
Hip |
8.7±2.1* |
7.3±1.4* |
10.9±5.1 |
9.2±3.2 |
3.927 |
.013 |
|
Shoulder |
12.4±4.2 |
11.3±2.2 |
11.9±4.2 |
10.3±2.6 |
1.340 |
.272 |
|
Not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WOA & BW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WOA & MWO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WA & MWO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WA
& MW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WOA
& MWA |
2. 임팩트 시 타깃 라인에 대한 정렬 각도
임팩트 시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 양발 스탠스, 양쪽 어깨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조건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임팩트 시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BWA 조건이 B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29, p=.001).
퍼팅 스트로크의 구성 요소 중 퍼터 페이스 각도는 퍼팅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어드레스에서부터 팔로우스로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Cochran과 Stobbs (1968)와 Heuler (1995)는 성공적인 퍼팅은 퍼터 헤드의 움직임, 궤도,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언급하였으며, 이 중 퍼터 헤드의 움직임이 골프볼의 진행 방향에 직적접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퍼팅 어드레스 시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의 정렬 각도를 분석한 결과, BWOA 조건과 B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블레이드 퍼터를 사용한 조건이 말렛 퍼터를 사용한 조건에 비해 타깃 라인을 기준으로 퍼터 페이스를 더 정확히 수직 정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Farnsworth (2009)는 시각적으로 퍼터 페이스를 타깃 라인에 수직으로 정렬하는 것이 퍼터 헤드 윗면에 표시된 얼라인먼트 라인을 타깃 라인에 평행하게 맞추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고 보고하였다. Farnsworth (2009)의 연구 결과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상대적으로 헤드의 크기가 크고 얼라인먼트 라인이 퍼터 헤드의 윗면에 길게 표시되어 있는 말렛 퍼터에 비해 일자 형태인 블레이드 퍼터를 사용할 경우, 퍼터 페이스를 타깃 라인 또는 골프볼 에이밍 라인에 수직으로 정렬하기 때문에 퍼터 페이스의 정렬 각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WA 조건이 B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M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퍼팅 시 에이밍 라인과 정렬 오차의 관계를 분석하여 에이밍 라인이 정렬 오차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한 Kim 등 (2020)의 연구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 조건이 미적용 조건에 비해 타깃 라인을 기준으로 퍼터 페이스를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골프볼에 적용한 에이밍 라인이 퍼팅 정렬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퍼팅은 정교한 신체 움직임이 필요한 동작으로써 최소한의 체중 이동을 필요로 한다(Park, Lim, Lee & Kwon, 2019). 퍼팅 동작은 신체의 전후축을 중심으로 어깨와 상지를 좌우로 회전하면서 퍼터 헤드가 진자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시계추 동작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Park, 2012). 일관성 있는 시계추 동작은 올바른 어드레스 자세에서 비롯되며, 양발, 골반, 어깨가 타깃 라인과 평행을 이룬 것을 정확한 신체 정렬로 정의하고 있다(Leadbetter & Simmons, 2002).
본 연구에서 퍼팅 어드레스 시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타깃 라인과 양발 스탠스의 정렬 각도를 분석한 결과, BWOA 조건과 B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퍼팅 어드레스 시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목표 방향 또는 타깃 라인에 대해 퍼터 헤드를 정렬한 후, 정렬된 퍼터 헤드를 기준으로 스탠스를 정렬하게 된다(Lee & Hong, 2019). 따라서 퍼터 헤드의 정렬이 스탠스의 정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 보고한 각 조건별 퍼터 페이스 정렬 각도의 결과와 양발 스탠스 정렬 각도의 결과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퍼터 페이스 정렬 각도와 같이 양발 스탠스 정렬 각도에서도 블레이드 사용 조건 및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 조건에서 정렬 각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퍼팅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BWA 조건이 MW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Pelz (2000)는 양발 스탠스를 비롯한 무릎, 골반, 어깨 등 신체 주요 부위가 타깃 라인과 평행을 이루면, 팔과 손목의 움직임에 대한 방해 요소를 최소화시키고 일관성 있는 퍼팅 스트로크를 통해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어드레스 시 블레이드 퍼터를 사용할 경우 타깃 라인에 대한 신체 정렬이 더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 정렬의 정도에 따라 퍼팅의 정확성 및 일관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퍼팅 임팩트 시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 양발 스탠스, 양쪽 어깨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조건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임팩트 시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BWA 조건이 B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퍼팅 시 임팩트 동작에서의 각 조건별 정렬 각도는 어드레스 동작에 비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퍼팅 동작 시 기술 수준에 따른 정렬 능력의 차이를 배제하기 위해 골프 참여 경력이 전무한 초보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을 요하는 임팩트 시점을 포함한 퍼팅 스트로크 동작에서는 정렬 각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Park (2002)의 연구에서도 초보자의 경우 퍼팅 스트로크 시 퍼터 헤드의 궤도 및 템포가 일정하지 않으며, 숙련자에 비해 초보자의 타깃 라인에 대한 퍼터 페이스의 각도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기술 수준이 낮을수록 개인적인 퍼팅 성향과 신체 구조 등 다양한 변수들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퍼팅 시 퍼터 헤드 형태와 골프볼 에이밍 라인 유무에 따른 정렬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퍼팅 시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미적용(BWOA),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BWA), 말렛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미적용(MWOA), 말렛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MWA)의 4가지 조건에 대해 무작위 순으로 홀과 2 m의 거리에서 3회의 퍼팅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3차원 영상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퍼팅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퍼터 페이스의 정렬 각도에서는 BWOA 조건과 B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WA 조건이 B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M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퍼팅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양발 스탠스의 정렬 각도에서는 BWOA 조건과 B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WA 조건이 M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퍼팅 어드레스 시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BWA 조건이 MW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퍼팅 임팩트 시 타깃 라인과 양쪽 무릎 관절, 양쪽 엉덩 관절의 정렬 각도에서는 BWA 조건이 BWOA 조건에 비해 정렬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퍼팅 어드레스 동작 시 블레이드 퍼터 +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 조건이 다른 3가지 조건에 비해 타깃 라인을 기준으로 퍼터 페이스, 스탠스, 무릎 관절, 엉덩 관절을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블레이드 퍼터 사용 및 골프볼 에이밍 라인 적용이 퍼팅 정렬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Abdel-Aziz, Y. & Karara, H. M. (1971). Direct linear trans- formation from comparator coordinates in object-space coordinates in object-space coordinates in close range photogrammetry. Proceedings of the ASP Symposium of Close-Range Photogrammetry. Urbana, IL.
2. Cochran, A. J. & Stobbs, J. (1968). The search for the perfect swing. Lippincott.
Google Scholar
3. Farnsworth, C. L. (1997). See it & sink it: mastering putting through peak visual performance. Harper Collins Publishers.
Google Scholar
4. Farnsworth, C. L. (2009). The putting prescription: the putt doctor's proven method for a better stroke. Wiley.
Google Scholar
5. Har, D. H. & Cho, D. H. (2015). The kinematic analysis of change of putter head on putting accuracy.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6), 617-624.
6. Heuler, O. (1995). Perfecting your golf swing: new ways to lower your score. Sterling.
7. Johnston, A., Benton, C. P. & Nishida, S. Y. (2003). Golfers may have to overcome a persistent visuospatial illusion. Per- ception, 32(9), 1151-1154.
Google Scholar
8. Karlsen, J., Smith, G. & Nilsson, J. (2008). The stroke has only a minor influence on direction consistency in golf putting among elite players. Journal of Sports Sciences, 26(3), 243-250.
Google Scholar
9. Kim, S. I. (2016). Analysis of skill factors of golf performance in LPGA tour (1993-2015). Korean Journal of Golf Studies, 10(4), 49-59.
10. Kim, Y. J., Jin, Y. G., Koo, B. Y., Jang, J. U. & Mah, K. C. (2020). The effects on the putting alignment with golf balls and putters aiming lines.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2(4), 515-527.
Google Scholar
11. Leadbetter, D. & Simmons, R. (2002). David leadbetter 100% golf: unlocking your true golf potential. Harper Resource.
Google Scholar
12. Lee, H. W. & Hong, J. Y. (2019). Analysis of pre routine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golf players. Journal of Golf Studies, 13(2), 191-202.
13. Lee, M. Y. & Lee, H. J. (2019). Analysis of inclination of amateur golfer putting stroke face angle and club path.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2), 1121-1127.
14. Mangum, G. (2008). Optimal putting: brain science, instincts, and the four skills of putting. Axess Book Printing.
15. Park, J. (2002). Comparisons of putting stroke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t and novice golfers (I).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12(2), 197-206.
Google Scholar
16. Park, J. (2012). A study affecting the results of putting stroke which are face angle at impact, swing path of club, and green slope. Korean Society of Golf Studies, 6(2), 169-176.
17. Park, J. S., Lim, Y. T., Lee, J. W. & Kwon, M. S. (2019). Effects of skill and distance factors on center of mass and center of pressure during golf putting.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9(4), 205-211.
Google Scholar
18. Pelz, D. (2000). Dave Pelz's putting bible: the complete guide to mastering the green (Vol. 2). Doubleday.
19. Rha, I. J. (2011). Toward a new putting theory based on the effects of separating putterface angle from swing path. Korean Society of Golf Studies, 5(1), 39-48.
20. Shim, J., Miller, G. & Lutz, R. (2012). Use of ball line as an alignment aid in pu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olf Science, 1(2), 71-80.
Google Scholar
21. Yoo, C. K., Shin, D. J. & Park, B. Y. (2014). Research on psycho- logical factors of golf players on experience using color golf ball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7(1), 593-602.